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결혼 축의금 봉투 쓰는법 이름 위치는 어디에 해야 좋을까?

인생에서 성수기, 비성수기가 없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결혼식입니다. 결혼식은 1년 내내 언제든지 이루어지는 것인데요, 몇일전에도 몇달전에도 지인이 결혼을 해서 다녀왔습니다. 항상 결혼식을 갈때면 격식에 어긋나지 않으려고 옷부터 다른 부분까지 정말 세심하게 확인하게 됩니다.




많은 분들이 동일할텐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결혼 축의금 봉투 쓰는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려 합니다. 옷도 격식을 갖춰야 하지만 축의금이 들어가는 봉투또한 예의를 갖춰서 주는것이 좋습니다. 그렇다고 봉투에 상상이상의 격식을 차리라는 것이 아닙니다.




단순히 본인의 마음을 담아 편지와 함께 넣어도 되고 또다른 방법을 이용해도 전혀 상관없습니다. 격식을 차리라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지 않게 행동하라는 것이지 성과 열을 다해서 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실 격식을 차리는 장소라기 보다 신랑, 신부를 축복해주는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결혼 축의금 봉투는 보통 직접 준비하지 않는다면 식장에 구비되어 있는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어떤 곳은 봉투 앞면에 한자가 쓰여진 곳도 있지만 대부분 흰색 봉투인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은 한자도 어르신들 외에는 잘 적지 않지만 격식을 갖추고 싶다면 적어도 좋습니다.




보통 축결혼, 축화혼, 축성전, 축성혼, 하의라고 봉투 앞면에 적습니다. 5가지중 한가지만 골라서 결정하시면 됩니다. 축화혼은 빛나는 혼인을 기원한다는 뜻이 담겨 있고 축성전은 성대한 의식을 축하합니다 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축성혼은 성스러운 결혼식을 축하한다는 의미입니다.



센스있게 적고싶다면 위의 한자를 쓰지 마시고 반대로 풀이말을 쓰는것도 좋은 방법중 하나입니다. 사실 신랑, 신부도 한자를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축의금 봉투 이름 위치는 봉투 뒷면에서 좌측 하단에 적는것이 일반적입니다. 세로로 기입을 하되 신랑, 신부와의 관계를 먼저 적고 아래에 본인 이름을 적으면 됩니다. 직장동료 라면 회사이름을 적거나 팀명을 적어도 됩니다.



어떠신가요? 결혼 축의금 봉투 쓰는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단지 본인의 의사에 따라 격식을 과하게 차릴 것인지 센스있게 시대에 맞는 문구를 넣을것인지 결정하면 되는것입니다. 축하의 자리에서 머리 쓰지마시고 그 시간에 더 많은 축하를 해주시기 바랍니다.